글 수 3,191
- 지인에게 부탁 받아 올리는 글입니다. 문제가 된다면 삭제하겠습니다.
- 연구참여신청 및 관련문의는 연구담당자 이메일(find.yonsei@gmail.com)로 해주세요.
[스마트폰 과사용 연구에 참여할 20~30대 대상자를 모집합니다.]
스마트폰은 일상생활의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뇌 활성화 패턴 및 마음의 작동 방식을 비교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사용과 함께 달라지고 있는 생활방식이 사람들의 인지와 감정의 작동 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 연구제목: 스마트폰 과사용의 신경 기전 규명 연구
■ 참여대상: 만 19~38세의 스마트폰 사용자
■ 제외기준:
- 주요 정신과적 질환으로 진단 받고 현재 치료(약복용) 중인 자
- 자기공명영상(MRI) 검사가 불가능한 자; 폐쇄공포증이나 체내에 분리할 수 없는 금속물질(심장박동기, 치아교정기/유지기 등)이 있는 경우
■ 연구장소: 신촌세브란스병원, 강남베드로병원(양재역 인근)
■ 참여기간: 약 12개월이며, 이 기간 중 4회 방문하시도록 계획되어 있습니다.
■ 참여내용:
- 1차 방문: 설문검사, 주의력검사, 신경인지검사 등을 시행합니다(1시간30분).
- 2차 방문:시 뇌 자기공명영상(Brain MRI) 검사를 시행합니다(30분).
**스마트폰에 ‘넌얼마나쓰니’(스마트폰 사용패턴 자가점검 애플리케이션)를 설치하여 1년간 유지합니다.
- 3차 방문(2차 방문 1년 후): 임상면담/설문검사, 주의력검사 등을 시행합니다(약 1시간~1시간30분).
- 4차 방문: 뇌 자기공명영상(Brain MRI) 검사를 시행합니다(약 1시간).
■ 제공사항: 연구 참여 시 소정의 참여비를 제공합니다.
- 2차 방문 완료 시 15만원, 4차 방문까지 모두 완료 시 30만원을 드립니다.
■ 예측가능한 부작용: 본 연구에서 시행하는 검사들은 비침습적인 검사로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는 좁은 공간에서 20~30분간 검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답답함과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나 연구진이 바로 대처 가능하며, 참여자가 원할 경우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습니다.
■ 연구담당자: 성고은 연구원 (연세대 의학행동과학연구소)
**참여를 원하시는 분은 find.yonsei@gmail.com으로 연락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