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정보의 유통과 검색복제가 용이해진 디지털 사회가 도래하면서 이전 대비 광범위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이 바로 표절이다일반적으로 표절이라 함은 다른 사람이 창작한 저작물의 일부나 전부를 도용해서 마치 자신의 창작물인 것처럼 꾸미는 행위를 말한다타인의 것을 자기 것인 양 가져다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라는 점에서표절은 파렴치한 모럴해저드 현상으로 간주된다.

그 중 특히 대학가에서 문제가 되는 학문적 영역에서의 표절정확한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 다른 저작물을 인용재인용차용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2008당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마련한 논문표절 가이드라인 모형에 따르면 이 학문적 영역에서의 표절은 여섯 단어 이상의 표현이 동일하게 이어지는 경우’, ‘생각의 단위가 되는 명제 또는 데이터가 동일(혹은 본질적으로 유사)한 경우’,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자신의 것처럼 이용하는 경우’ 등이라고 규정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학문적 영역에서는 자기 자신의 저작물을 출처표기 없이 상당부분 그대로 재사용하는 자기표절도 엄중한 도덕적·윤리적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우리사회적어도 우리 대학사회에는 여전히 표절이 만연해있다는 점이다대학생들이 너무나 가벼운 마음으로 타인의 생각을 표절하고 있다는 것은 리포트나 소논문 등의 과제물을 인터넷에서 거래하는 사이트가 넘쳐나고 있는 현실이 이미 방증하고 있는 바다비단 대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다학문적 세계로 깊이 들어가겠다는 많은 대학원생들은 그 입장권에 해당하는 석사논문에서부터 수많은 표절과 복제를 시도하고 있고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지도·편달해야 할 일부 교수들마저 학자로서의 양심을 저버린 채 도덕적 해이 속에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그리고 이런 현상 자체보다 더 큰 문제를 꼽자면표절이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 그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는 대학사회 구성원이 예상보다 많다는 점일 것이다.

대학사회의 표절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온 것은 사실 우리나라만이 아니다해외의 많은 대학사회 역시 동일한 문제에 대해 오랜 고민을 거쳐 왔다그 고민의 결과로 탄생한 것 중의 하나가 소위 표절에 대한 시스템적 해결방안의 모색이다주로 영미권에서 시도돼온 이 방안은 약 20년 전부터 광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IT기술을 접목시켜 표절검색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이번에 우리학교가 도입한 Turn it in(턴잇인프로그램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1994년 미국 UC버클리 학생들이 처음 만든 이래로 현재 전 세계 126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대학사회에도 적극 소개되어지난 2007년 6월 한국정보통신대학교가 최초로 도입한 후 현재 31개의 국내 기관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이러한 표절행위 근절을 위한 시스템적 방안의 모색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지식범죄의 색출이라기보다는 연구윤리의 향상에 가닿아 있을 것이다하지만 사람이 바뀌지 않는다면 제 아무리 훌륭한 사전·사후예방시스템이 갖춰진다 한들 표절문제가 해결되거나 연구윤리가 향상되지는 않을 것이다가령 문장의 유사도나 중복도를 검색해 표절 여부를 판별하는 턴잇인 프로그램의 경우동일한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 한국어의 특성상 문장 표현만 달리 쓰면 표절 여부를 가려내는 데 한계를 보이게 된다때문에 턴잇인을 비롯한 거의 모든 시스템적 방안들은해당학과의 전문가들이나 학교당국의 적극적인 표절 검증 시스템의 보조를 필수적으로 요한다.

결국표절문제를 대학사회에서 뿌리 뽑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구성원 개개인의 인식 변화이며이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연구윤리교육 및 대학 당국의 면밀한 관리방안이 선행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연구윤리의식은 단 시일 내에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여러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의 장기간에 걸친 체계적인 노력이 뒷받침될 때만이 가능하다철저한 표절방지 교육을 통해 학생과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 개개인의 연구윤리의식이 개선되지 않는다면,그리고 대학이 적극적으로 표절 근절 의지를 갖춰가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도입한 들 본질적인 문제해결은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될 것이다인간이 만든 시스템을 인간이 피해가는 방법이란 언제든 존재하기 마련인 탓이다.

번호
글쓴이
630 대학주보 [1601호] 9개 관련기사 총 조회수 ‘19,000여 회’ 구성원, ‘캠퍼스 통합’ 문제에 주목
대학주보
2015-12-07 7481
629 대학주보 [1601호] 제3의 중핵교과 ‘과학’ 분야 추가된다
대학주보
2015-12-07 7649
628 대학주보 [1601호] 대학주보로 본 2015, 올 한해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대학주보
2015-12-07 6908
627 대학주보 [1601호] 사설 '대학은 우리학교의 미래 어떻게 열어갈 것인가'
대학주보
2015-12-07 6357
626 대학주보 [1600호] 사설 '전임교원 책임시수, 결국 책임감 문제다'
대학주보
2015-11-30 9221
625 대학주보 [1600호]국제캠퍼스는 왜 ‘국제’캠퍼스 인가요
대학주보
2015-11-30 10132
624 대학주보 [1600호]서울캠 총학 ‘취향저격’, 국제 ‘KHU&KHU’ 선본 당선
대학주보
2015-11-30 6728
623 대학주보 [1600호]기업 ‘사실상 분교표기’… 취준생 ‘답답’
대학주보
2015-11-30 10579
622 대학주보 [1600호]책임시수 상향 추진 … 내년부터 적용 교수의회, “절차와 소통 무시한 일방적 처사”
대학주보
2015-11-30 8774
621 대학주보 [1600호] ‘이과대학·응용과학대학’, ‘특성화’인가 ‘유사학문’인가?
대학주보
2015-11-30 8660
대학주보 [1570호] 사설 : 연구윤리의식 시스템 아닌 사람에서 시작된다
대학주보
2014-05-28 6431
619 대학주보 [1570호] 박, “적정등록금 시립대 수준으로” 정, “등록금 인하보다 장학금 확충”
대학주보
2014-05-28 6515
618 대학주보 [1570호] 평의원회 구성 주요 사립대와 비슷 우리대학, 타대에 비해 양호한 운영
대학주보
2014-05-28 6526
617 대학주보 [1570호] 아르바이트 ‘리걸클리닉’으로 도움받자
대학주보
2014-05-28 6126
616 대학주보 [1570호] 아르바이트생 66.9% 근로계약서 작성 안 해
대학주보
2014-05-28 6761
615 대학주보 [1569호] 사설 : 교수의회 서울지회의 시선을 경계한다
대학주보
2014-05-22 6741
614 대학주보 [1569호] 행·재정 혁신안, 본격적인 논의 시작
대학주보
2014-05-22 6425
613 대학주보 [1569호]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 : ‘졸업생 평판’ 큰 폭 상승 … ‘교원당 논문’ 최저
대학주보
2014-05-22 7085
612 대학주보 [1569호] 인터뷰 : 제 1회 경희 ‘웃는 사자상’ “배운 것,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비전”
대학주보
2014-05-22 7324
611 대학주보 [1569호] 총장선출·학장임명·교수임용방식 변화 “열려있다”
대학주보
2014-05-22 6638
610 대학주보 [알림]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대학주보
2014-05-15 6313
609 대학주보 [1568호] 사설 : 대학언론의 미래, 대학의 지속가능성에 달려있다
대학주보
2014-05-15 6299
608 대학주보 [1568호] 칼럼 : 제자 취업 책임지는 ‘지도교수제’ 필요
대학주보
2014-05-15 5852
607 대학주보 [1568호] ‘온라인 대학주보’ 이용률 57%, ‘종이신문’ 36.6% 뛰어넘어
대학주보
2014-05-15 6077
606 대학주보 [1568호] 풀리지 않는 숙제 ‘소통’ 대체 어떻게 풀어야 할까
대학주보
2014-05-15 6273
605 대학주보 [1568호] 신공학관, “서구 건축양식 무비판적 이식” 비효율적인 공간구조도 지적
대학주보
2014-05-15 9638
604 대학주보 [1568호] 입학정원, 80년대초 1,400명 증가로 현재 수준 호관대, 본·분교 통합도 영향 미쳐
대학주보
2014-05-15 7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