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올해도 벌써 경상남도에는 진달래가 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봄이 되면 우리나라 각지에서 분홍색 진달래가 만발해 등산객을 맞이한다. 우리학교 고황산에도 진달래가 많이 핀다. 노란색의 개나리와 하얀색의 목련, 벚꽃이 피는 시기에 어쩌면 뭔가 부족해 보이는 색을 진달래가 화려하게 감싸주는 것 같다.

고려시대부터 내려오는 9대 속절(俗節; 계절이 바뀔 때 조상의 묘에 차례를 지내던 날) 중에 하나인 삼짇날(음력 33)에는 들판에 나가 꽃놀이를 하고 새로 싹이 트는 풀을 밟으며 봄을 즐겼다고 한다. 이때 진달래꽃으로 화전(花煎)을 부쳐서 먹었다고 하는데 지금도 봄이 되면 화전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렇게 진달래는 먹을 수 있는 꽃이어서 참꽃이라고도 했고, 반면에 비슷하게 생겼으나 먹을 수 없는 철쭉(오른편 사진)개꽃이라고 하였다. 봄을 맞이하는 날 화전으로 먹는 진달래야 말로 진정 봄을 상징하는 꽃이 아닐까.

진달래라는 이름에는 전설이 있다. 선녀의 다리를 치료해 준 나무꾼이 선녀와 결혼해 딸을 낳아 이름을 달래라고 지었다고 한다. 어른이 된 달래는 신임 사또의 첩이 되는 것을 거절했고, 이에 화가 난 사또가 달래를 죽이자, 나무꾼도 그 자리에서 슬퍼하며 죽게 됐는데 그 다음날 달래의 시체는 없어지고, 나무꾼의 시체에는 빨간 꽃이 피어 무덤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 후 사람들이 이 꽃을 나무꾼의 성인 과 딸의 이름인 달래를 합쳐 진달래라고 부르게 됐다고 한다. 식물의 이름과 관련된 전설이 조금 억지스럽기도 하고 기존 소설들을 조합한듯하지만 재미삼아 알고 있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식물에게서 꽃을 피운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꽃을 피워 꽃가루를 만들고 멀리 떨어진 다른 꽃의 암술로 보냄으로 생식(reproduction)이 이뤄진다. 자신의 꽃가루가 자신의 암술에 붙지 않도록 하면서 다른 꽃으로 이동을 시켜야 하니 식물마다 이 꽃가루를 전달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진화됐다. 진달래의 경우는 곤충을 이용하는데 이름 봄 다른 꽃들이 피기 전에 먼저 피어서 꽃가루 전달(수분; pollination)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꽃잎은 통꽃으로 1장이나 5갈래로 나뉘어져 있으며, 꽃의 위와 아래가 분명하다. 꽃의 가운데에는 1개의 암술과 10개의 수술이 항상 위를 향해 있고, 꽃잎의 위쪽에는 수분을 도와주는 곤충에게 꿀이 있는 곳을 알려주기 위한 nectar guide가 있다. 곤충이 날아와 꿀을 먹으려 할 때 위를 향한 수술이 곤충의 배에 꽃가루를 묻힌다. 우리가 볼 때에는 그저 아름답기만 한 꽃이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꿀을 만들고, 그 꿀이 있는 곳을 친절하게 가르쳐 주고 있다. 꽃이 곤충에게 꿀을 제공함으로 곤충은 자신도 모르게 꽃가루를 이동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진달래는 자신의 꽃가루를 멀리 보내기 위하여 곤충을 이용하는 전략을 사용하는 것이다.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와 비슷한 꽃은 바로 철쭉이다. 우리가 흔히 부르는 철쭉은 정확하게 산철쭉[R. yedoense for. poukhanense (H. lev.) M. Sugim. ex T. Yamaz.]이 맞는 이름이고, 철쭉[R. schlippenbachii Maxim.]이라는 식물은 서울캠퍼스 국제교육원 옆에 진달래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로 비슷하게 자라고 있는 식물이다. 잘못 알려지거나 혼용되는 이름은 가급적 바로 잡아서 올바른 이름으로 불렸으면 좋겠다. 산철쭉은 본관에서 평화의 전당을 가다보면 많이 심어져 있다. 이중에는 흰색, 주황색 등의 꽃을 피우는 영산홍이 섞여 있는데 대부분 일본에서 들여온 원예종이다. 과거에도 일본 철쭉이 들어온 기록이 있는데 1441년 세종대왕에게 일본 철쭉을 진상했다고 하니 우리나라에 영산홍은 오래전에 유입이 된 원예식물인 것이다. 원예종이 아닌 산철쭉은 법과대학 앞에 많이 심어져 있는데, 이 산철쭉은 우리나라 고유종(endemic species)으로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돼 해외에 소개됐다. 나고야의정서에 의해 각 국가마다 유전자원에 대한 주권과 이익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고유의 식물을 알고 지키는 것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2013.03.25 안범철 <자연사박물관 학예사>
번호
글쓴이
630 대학주보 [1601호] 9개 관련기사 총 조회수 ‘19,000여 회’ 구성원, ‘캠퍼스 통합’ 문제에 주목
대학주보
2015-12-07 7619
629 대학주보 [1601호] 제3의 중핵교과 ‘과학’ 분야 추가된다
대학주보
2015-12-07 7794
628 대학주보 [1601호] 대학주보로 본 2015, 올 한해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대학주보
2015-12-07 7019
627 대학주보 [1601호] 사설 '대학은 우리학교의 미래 어떻게 열어갈 것인가'
대학주보
2015-12-07 6481
626 대학주보 [1600호] 사설 '전임교원 책임시수, 결국 책임감 문제다'
대학주보
2015-11-30 9386
625 대학주보 [1600호]국제캠퍼스는 왜 ‘국제’캠퍼스 인가요
대학주보
2015-11-30 10290
624 대학주보 [1600호]서울캠 총학 ‘취향저격’, 국제 ‘KHU&KHU’ 선본 당선
대학주보
2015-11-30 6849
623 대학주보 [1600호]기업 ‘사실상 분교표기’… 취준생 ‘답답’
대학주보
2015-11-30 10748
622 대학주보 [1600호]책임시수 상향 추진 … 내년부터 적용 교수의회, “절차와 소통 무시한 일방적 처사”
대학주보
2015-11-30 8942
621 대학주보 [1600호] ‘이과대학·응용과학대학’, ‘특성화’인가 ‘유사학문’인가?
대학주보
2015-11-30 8794
620 대학주보 [1570호] 사설 : 연구윤리의식 시스템 아닌 사람에서 시작된다
대학주보
2014-05-28 6540
619 대학주보 [1570호] 박, “적정등록금 시립대 수준으로” 정, “등록금 인하보다 장학금 확충”
대학주보
2014-05-28 6655
618 대학주보 [1570호] 평의원회 구성 주요 사립대와 비슷 우리대학, 타대에 비해 양호한 운영
대학주보
2014-05-28 6681
617 대학주보 [1570호] 아르바이트 ‘리걸클리닉’으로 도움받자
대학주보
2014-05-28 6273
616 대학주보 [1570호] 아르바이트생 66.9% 근로계약서 작성 안 해
대학주보
2014-05-28 6883
615 대학주보 [1569호] 사설 : 교수의회 서울지회의 시선을 경계한다
대학주보
2014-05-22 6863
614 대학주보 [1569호] 행·재정 혁신안, 본격적인 논의 시작
대학주보
2014-05-22 6532
613 대학주보 [1569호]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 : ‘졸업생 평판’ 큰 폭 상승 … ‘교원당 논문’ 최저
대학주보
2014-05-22 7220
612 대학주보 [1569호] 인터뷰 : 제 1회 경희 ‘웃는 사자상’ “배운 것,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비전”
대학주보
2014-05-22 7435
611 대학주보 [1569호] 총장선출·학장임명·교수임용방식 변화 “열려있다”
대학주보
2014-05-22 6746
610 대학주보 [알림]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대학주보
2014-05-15 6457
609 대학주보 [1568호] 사설 : 대학언론의 미래, 대학의 지속가능성에 달려있다
대학주보
2014-05-15 6425
608 대학주보 [1568호] 칼럼 : 제자 취업 책임지는 ‘지도교수제’ 필요
대학주보
2014-05-15 5979
607 대학주보 [1568호] ‘온라인 대학주보’ 이용률 57%, ‘종이신문’ 36.6% 뛰어넘어
대학주보
2014-05-15 6207
606 대학주보 [1568호] 풀리지 않는 숙제 ‘소통’ 대체 어떻게 풀어야 할까
대학주보
2014-05-15 6394
605 대학주보 [1568호] 신공학관, “서구 건축양식 무비판적 이식” 비효율적인 공간구조도 지적
대학주보
2014-05-15 9749
604 대학주보 [1568호] 입학정원, 80년대초 1,400명 증가로 현재 수준 호관대, 본·분교 통합도 영향 미쳐
대학주보
2014-05-15 7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