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우리 주변에는 여러 가지 풀과 나무들이 자라고 있다. 봄이 되면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나무가 있는가 하면, 알 수 없는 풀들도 있다. 이들 중에는 사람이 키우는 풀이나 나무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사람이 가꾸는 식물은 거름도 주고, 물도 주면서 정성을 쏟지만 잘 자라지 않는 것 같고, 그 옆에서 자라는 식물은 눈에 띌 정도로 빠른 성장을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봤을 것이다. 이렇게 사람이 키우지 않는데 자라는 풀을 우리는 잡초라고 한다. 잡초는 지속적으로 뽑아도 자라고, 또 자란다. 이런 잡초는 강인한 생명력을 대변하기도 한다.

잡초(雜草, weeds)에 대한 정의는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여러 가지 풀이라고 한다. 보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논이나 밭에서 키우는 농작물을 제외한 그 가치가 조금 모자란 식물을 통틀어서 잡초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같은 잡초라도 경작지가 아닌 숲속에서 자라는 식물을 야생초라고 구분하기도 한다. 이러한 구분은 인간에 의해 구분된 것으로 그 구분이 매우 주관적이다. 또한 과거에는 잡초로 불렸으나 나중에 농작물이나 약용식물로 인정돼 귀한 대접을 받는 식물도 있다. 그 대표적인 식물은 민들레(왼편 사진)일 것이다. 민들레는 어디서나 잘 자라고 그 생명력과 번식력이 강해서 꽃은 예쁘지만 사용할 가치가 없는 식물로 알고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한약으로는 포공영(蒲公英)이라 하여 염증을 약화시키는 효능의 약제로 사용하고, 봄에 쌉싸름한 맛을 느끼기 위하여 나물로 해 먹기도 한다. 요즘은 논두렁에서 자라는 민들레를 채취해 파는 사람도 있으니 더 이상 잡초라고 말하기 어려운 식물이다. 이런 식물은 비단 민들레만이 아니다. 된장찌개에 들어가는 대표적인 재료인 냉이를 생각해보자. 냉이는 예전부터 시장에 가면 팔았던 식물이다. 하지만 냉이는 우리주변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잡초이다. 지금도 한의과대학 앞에 하얀색의 꽃을 피우고 있지만 그 잡초가 냉이라고 아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 자연사박물관 관람자를 대상으로 식물을 설명할 때 냉이를 뽑아서 그 뿌리의 냄새를 맡게 하면 냉이를 바로 알지만 꽃을 보고 냉이를 구분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쑥대밭이 됐다라는 표현을 한다.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서 사람이 살지 않으면 제일 먼저 자라는 것이 쑥이다. 그래서 쑥대밭이 됐다는 표현은 어떤 집안이 망했을 때 사용하는 말이다. 이 쑥이란 식물은 생명력도 강하지만 한번 뿌리가 내리면 화학적인 물질을 내보내어 다른 식물들이 자라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를 타감작용(allelopathy)이라고 한다. 쑥에서 일어나는 타감작용으로 인해 쑥 이외의 다른 식물은 점점 그곳에서 자라지 못하고 쑥만이 자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식물의 입장에서 보면 워낙 강한 생명력을 가졌기에 쑥대밭이 되는 것이지 집안을 망하게 하는 식물은 아닌 것이다.

타감작용은 쑥 뿐만이 아니라 뿌리에서 다른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물질을 내보내는 개망초(오른편 사진), 소나무 등 많은 식물에서 자신의 분포지역을 넓히기 위해 사용하는데 마늘에서 나는 냄새(Allicin), 고추의 매운 맛(Capsaicin)도 대표적인 타감작용을 위한 물질이고, 향이 나는 식물을 이용하는 Herb theraphy 또한 마찬가지이다. 타감물질을 이용하여 천연제초제나, 방충제를 연구하여 실생활에 이용되는 경우도 많다.

과거 우리나라 사람들은 보릿고개, 전쟁 등을 거치면서 먹을 것이 없어서 고생했던 시기가 길었다. 이때 구황작물뿐 아니라 우리 주변에 있던 잡초도 모두 먹거리의 대상이 됐기에 잡초라 할지라도 대부분 음식으로 만드는 문화가 강하다. 그리고 잡초 중에 뚝새풀은 간맥낭(看麥娘), 명아주는 여(), 바랭이는 마당(馬唐), 강아지풀은 구미초(狗尾草)라는 이름의 약초로 이용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고 있는 대부분의 식물을 식용 또는 약용으로 이용했다. 이렇듯 우리 주변에 있는 잡초들은 이름을 잘 모를 뿐이지 이름 없는 풀이 없으며, 알면 도움이 되는 식물이 많이 있다.

2013.04.01 안범철 <자연사박물관 학예사>
번호
글쓴이
630 대학주보 [1601호] 9개 관련기사 총 조회수 ‘19,000여 회’ 구성원, ‘캠퍼스 통합’ 문제에 주목
대학주보
2015-12-07 7627
629 대학주보 [1601호] 제3의 중핵교과 ‘과학’ 분야 추가된다
대학주보
2015-12-07 7802
628 대학주보 [1601호] 대학주보로 본 2015, 올 한해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대학주보
2015-12-07 7029
627 대학주보 [1601호] 사설 '대학은 우리학교의 미래 어떻게 열어갈 것인가'
대학주보
2015-12-07 6489
626 대학주보 [1600호] 사설 '전임교원 책임시수, 결국 책임감 문제다'
대학주보
2015-11-30 9388
625 대학주보 [1600호]국제캠퍼스는 왜 ‘국제’캠퍼스 인가요
대학주보
2015-11-30 10302
624 대학주보 [1600호]서울캠 총학 ‘취향저격’, 국제 ‘KHU&KHU’ 선본 당선
대학주보
2015-11-30 6858
623 대학주보 [1600호]기업 ‘사실상 분교표기’… 취준생 ‘답답’
대학주보
2015-11-30 10758
622 대학주보 [1600호]책임시수 상향 추진 … 내년부터 적용 교수의회, “절차와 소통 무시한 일방적 처사”
대학주보
2015-11-30 8943
621 대학주보 [1600호] ‘이과대학·응용과학대학’, ‘특성화’인가 ‘유사학문’인가?
대학주보
2015-11-30 8800
620 대학주보 [1570호] 사설 : 연구윤리의식 시스템 아닌 사람에서 시작된다
대학주보
2014-05-28 6549
619 대학주보 [1570호] 박, “적정등록금 시립대 수준으로” 정, “등록금 인하보다 장학금 확충”
대학주보
2014-05-28 6669
618 대학주보 [1570호] 평의원회 구성 주요 사립대와 비슷 우리대학, 타대에 비해 양호한 운영
대학주보
2014-05-28 6683
617 대학주보 [1570호] 아르바이트 ‘리걸클리닉’으로 도움받자
대학주보
2014-05-28 6292
616 대학주보 [1570호] 아르바이트생 66.9% 근로계약서 작성 안 해
대학주보
2014-05-28 6890
615 대학주보 [1569호] 사설 : 교수의회 서울지회의 시선을 경계한다
대학주보
2014-05-22 6871
614 대학주보 [1569호] 행·재정 혁신안, 본격적인 논의 시작
대학주보
2014-05-22 6536
613 대학주보 [1569호]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 : ‘졸업생 평판’ 큰 폭 상승 … ‘교원당 논문’ 최저
대학주보
2014-05-22 7232
612 대학주보 [1569호] 인터뷰 : 제 1회 경희 ‘웃는 사자상’ “배운 것, 사람들과 나누는 것이 비전”
대학주보
2014-05-22 7441
611 대학주보 [1569호] 총장선출·학장임명·교수임용방식 변화 “열려있다”
대학주보
2014-05-22 6751
610 대학주보 [알림] 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대학주보
2014-05-15 6472
609 대학주보 [1568호] 사설 : 대학언론의 미래, 대학의 지속가능성에 달려있다
대학주보
2014-05-15 6446
608 대학주보 [1568호] 칼럼 : 제자 취업 책임지는 ‘지도교수제’ 필요
대학주보
2014-05-15 6000
607 대학주보 [1568호] ‘온라인 대학주보’ 이용률 57%, ‘종이신문’ 36.6% 뛰어넘어
대학주보
2014-05-15 6218
606 대학주보 [1568호] 풀리지 않는 숙제 ‘소통’ 대체 어떻게 풀어야 할까
대학주보
2014-05-15 6404
605 대학주보 [1568호] 신공학관, “서구 건축양식 무비판적 이식” 비효율적인 공간구조도 지적
대학주보
2014-05-15 9754
604 대학주보 [1568호] 입학정원, 80년대초 1,400명 증가로 현재 수준 호관대, 본·분교 통합도 영향 미쳐
대학주보
2014-05-15 7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