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 후마니타스칼리지 - 대학주보 공동기획, 고전의 사계

우리는 왜 정치권력에 복종해야 하고 왜 국가가 정한 법에 따라야 하는가? 중세 유럽에서 왕의 권력은 신이 준 것이므로 신성하며, 백성들은 당연히 그에 복종해야 한다. 왕권신수설이라 불린 이러한 생각은 16-17세기 유럽의 절대왕정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권력 정당화 논리였다. 토머스 홉스의 리바이어던(Leviath an)은 왕권신수설이 아닌 새로운 권력의 정당화 논리를 제시한 책이다. 홉스는 다음 질문에 답하기 위해 고심했다. “어떻게 하면 신이 아니라 인간 이성에 기초한 정치질서를 만들 수 있을까?”

홉스가 고안한 해법의 키워드는 공포였다. 일반적으로 공포는 정치권력으로부터 경험되는 것이었다. 백성들은 왕이 휘두르는 무자비한 권력에 대해 공포를 느낀다. 그것이야말로 백성들을 왕에게 복종하게 만드는 주된 힘이었다. 그러나 홉스는 그것을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

공포는 왕의 권력이 아니라 오히려 권력이 없는 상태로부터 나온다. 이 권력 없는 상태, 개인들이 무제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상태는 불가피하게 무질서해질 수밖에 없다. 인간의 욕망은 무한하지만 획득할 수 있는 재화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람들은 서로 대립하고 싸우기 때문이다. 이러한 만인의 만인에 대한 전쟁상태’(bellum omnium contra omnes)가 바로 홉스가 상정한 자연상태이다.

여기서 홉스에 관한 널리 퍼진 오해 하나를 지적하자. 고등학교에서 홉스가 성악설을 주장했다고 배웠다는 학생들이 많다. 그러나 인간의 본성이 원래 선한가 악한가는 그의 관심사가 아니었다.


그는 인간은 인간에게 늑대라고 말했지만 동시에 일종의 신이라고도 썼다. 전자는 상위 권력이 없는 국가들 사이에서 그러하고, 후자는 국가 안에 있는 시민들의 경우이다. , 인간은 사회시스템에 따라 선할 수도 악할 수도 있다. 그래서 어떤 사회시스템을 만들 것인가가 홉스의 관심사였다.

혹자는 자연상태를 영구적인 전쟁상태로 말하는 것이 비현실적이라고 비판한다. 그러나 홉스의 자연상태는 그가 영향을 준 존 로크나 장 자크 루소의 자연상태보다도 훨씬 더 현실적이다. 자연상태는 역사적으로 원시사회, 내전상황, 국제관계에서 볼 수 있다고 홉스는 말했다.

이 중에서도 그의 주된 관심은 과거의 원시사회가 아니라 당시의 국제관계와 내전으로 인한 무정부상태, 특히 내전상태였다. 그는 실제로 폭력이 발생하는 갈등상황만이 아니라 평화가 불안정한 상태까지도 전쟁상태라고 봤다. 홉스의 자연상태는 본질적으로 그가 처했던 17세기 영국의 내전과 혼란스런 국제정치상황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반영한 것이다.

전쟁상태에서 개인들은 무질서에 대한 공포로부터 각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공공의 권력을 세워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무질서나 군중의 폭력보다는 절대적 권력을 감내하는 편이 더 낫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인들이 자신의 권리를 주권자에게 양도하는 대신 그의 보호를 받기로 결정한다. “우리는 왜 정치권력이 필요한가, 우리는 왜 정치권력에 복종해야 하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홉스의 답변은 바로 안전또는 치안인 것이다. 그래서 그가 제시한 정치권력의 새로운 정당화 논리를 치안논리라고 부른다.

만일 공공의 질서와 만인의 안전을 보장할 정치체계를 추구한다면, 치안논리는 단일하고 강력한 절대 권력의 필요성을 불러일으킨다.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두를 압도할 권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홉스가 이 절대적인 권력에 붙인 이름이 리바이어던이다.

근대 이전에는 왕에 대한 공포가 정치권력의 주된 통치방식이었다면, 홉스는 오히려 무질서에 대한 공포를 통해 정치권력을 정당화했다. 1651년에 출판된 리바이어던에 담겨있는 홉스의 생각은 오늘날까지도 정치권력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정당화 기제이다. 가장 극적인 예는 20019·11테러 이후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에서 볼 수 있다. 이들 나라의 정부들은 무슬림 이민자들에 대한 대중적 공포를 확대 재생산하면서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고 공권력과 감시체제를 강화하는 것을 정당화했다. 여전히 우리는 정치권력이 우리의 안전을 보장해 줄 것을 기대하면서 공권력의 강화에 동의하고 정치권력이 만든 법에 복종해야 한다고 믿고 있지 않은가?

1865년 프랑스 판화가 귀스타브 도레가 그린 판화 리바이어던의 파괴’(Destruction of Leviathan)

2013.05.20 이기라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번호
글쓴이
522 대학주보 [온라인]2014학년도 입시, ‘온라인 논술채점 시스템’ 도입
대학주보
5084   2013-08-05
 
521 대학주보 [온라인]“한의학 현대화에 힘쓰고 싶다”
대학주보
4762   2013-08-05
 
520 대학주보 [온라인]“자세한 연구 성과 소개로 후원자의 신뢰를 얻다”
대학주보
4304   2013-08-05
 
519 대학주보 [온라인]“국정원 선거개입 진상규명 촉구”, 총학 기자회견 열어
대학주보
4213   2013-08-05
 
518 대학주보 [온라인]버디프로그램 활동 발표회 열려
대학주보
4120   2013-08-05
 
517 대학주보 [온라인]올 여름, 캠퍼스 절전규제 실시
대학주보
4110   2013-08-05
 
516 대학주보 [1545호]죽느냐 사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햄릿》 3막 1장
대학주보
10208   2013-08-05
 
515 대학주보 [1545호]크나쯔엉 마을에 경희의 ‘가치’를
대학주보
5104   2013-08-05
 
514 대학주보 [1545호]후마니타스 칼리지, 경희 인문학의 상징으로 일신해가기를
대학주보
4572   2013-08-05
 
513 대학주보 [1545호]‘Failure is just movement’실패는 나를 새로운 곳으로 이끈다
대학주보
4217   2013-08-05
 
512 대학주보 [1545호]주간교수 반대로 발행 중단된 가톨릭대학보
대학주보
3940   2013-08-05
 
511 대학주보 [1545호]솔직히 부끄럽습니다
대학주보
4151   2013-08-05
 
510 대학주보 [1545호]의료원에 필요한 건 ‘구체적인 해법’
대학주보
4201   2013-08-05
 
509 대학주보 [1545호]경희 옴부즈, 온라인 민원접수 도입 후 이용 증가
대학주보
5023   2013-08-05
 
508 대학주보 [1545호]양 캠 글쓰기 평가방식 불일치 “큰 문제 없어 조금 더 지켜보자”
대학주보
4419   2013-08-05
 
507 대학주보 [1545호]‘불안’한 의학계열, 활로 찾기 시작하나
대학주보
4106   2013-08-05
 
506 대학주보 [1545호]종합순위는 올랐지만, 세부지표 하락
대학주보
4039   2013-08-05
 
505 대학주보 [1545호]“성찰 통해 자신만의 시간 가져야”
대학주보
4150   2013-08-05
 
504 대학주보 [1544호] ‘휘는 전자기기’ 원천 기술, 최초 개발 1
대학주보
5657   2013-06-04
 
503 대학주보 [1544호] 행복을 위한 특별 식단, 《에우데모스 윤리학》
대학주보
5450   2013-06-04
 
502 대학주보 [1544호] 경희구성원 주 정보채널 단과대학·학과 홈페이지
대학주보
5624   2013-06-04
 
501 대학주보 [1544호] 학내 미디어 활용패턴 조사 결과가 갖는 다양한 함의
대학주보
4545   2013-06-04
 
500 대학주보 [1544호] 모두가 즐거운 ‘세레머니’를 위해
대학주보
4960   2013-06-04
 
499 대학주보 [1544호] ‘구더기 무섭다고 장 못 담그는 격’
대학주보
4872   2013-06-04
 
498 대학주보 [1544호] 전과 논란 속에 비춰진 ‘현실’
대학주보
4929   2013-06-04
 
497 대학주보 [1544호] 47.44%, “다시 우리학교 택하겠다”
대학주보
4557   2013-06-04
 
496 대학주보 [1544호] 국제캠, 지난 3월 이후 등책위 진행 안해
대학주보
4477   2013-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