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고전(古典) 읽기는 고전(苦戰)이다?!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322)의 책을 한 권이라도 끝까지 독파한 사람이라면 고전의 쓴맛을 알 것이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고전은 잘 씹지 않으면 넘어가지도 않고, 소화되지도 않기 때문에 오래도록 곱씹어야 하는 느린 음식’(slow food)이다. 요즘 같은 속도전 세상에 2300년 전 한 희랍인이 요리한 그런 불편하고 귀찮은 음식을 먹어야 할 이유가 있을까?

몸에 좋다면 물짐승, 들짐승, 날짐승, 쓴 맛 단 맛 안 가리는 한국인이 마음에 좋다고 소문난 지중해식 식단을 외면하는 건 건강관리에 소홀한 처사일 것이다. 그렇다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식단을 펼쳐보자. ‘오늘의 요리는 최근 한국에 첫 선을 보인 에우데모스 윤리학이다.

제목은 에우데모스라는 사람이 책을 편집했거나 그에게 책이 헌정된 데서 연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책의 주제는 에우다이모니아’, 즉 행복이다. 그런데 희랍어로 행복하다는 말은 곧 잘 산다는 말이다.

그러니 국민 행복 시대잘 살아보세도 일종의 희랍식 콤비라고 할 수 있겠다. ‘행복이 선거에서 정치적 아젠다가 될 수 있었던 것은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일정 정도 사회의 암묵적 합의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그런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어찌 보면 너무나 뻔해서 물을 필요조차 없어 보이는 질문, ‘행복은 과연 무엇인가?’를 이 책에서 캐묻고 따진다. 그는 잘 사는 사람이 행복한 사람이라는 데에는 이의가 없다.

7면으로 이어짐

하지만 한국말로 잘 사는 사람이 곧 부자를 뜻한다는 사실을 알면 실망할 것이다. 우리의 일상어에 스며든 행복관은 사람이 잘 살고 못 살고를 돈으로 잰다. 행복의 척도는 돈, 이것이 한국 사회의 암묵적 합의 내용이 아닌가? ‘돈이 다는 아니지요라고 말하는 사람이 종종 있긴 하다. 돈이 있어도 명예가 없으면 폼이 안 난다. 그래서 많은 돈을 써서라도 명예를 사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못 생겨서 불행하고, 그래서 헬스클럽에, 화장품, 성형에 돈을 아끼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그들에게 선망의 대상은 멋지고 잘 생긴 대중 스타들이다. 나아가, 자기 관리에 신경 쓰는 사람들은 무엇보다도 건강을 챙긴다. 그렇다면 돈 많고, 명예 있고, 잘 생긴데다가 건강하기까지 한 사람은 마냥 행복할까?

아리스토텔레스는 마음에 병이 있거나 마음이 추하며, 마음이 넉넉하지 못한 사람은 행복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행복하기 위해서 반드시 지녀야할 좋음()은 돈과 명예와 같은 외적인 좋음도 아니고, 아름다운 외모와 건강과 같은 신체적 좋음도 아니다. 그것은 심적인 좋음, 즉 덕()이다. 희랍어로 을 가리키는 아레테는 뛰어남과 훌륭함을 의미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게는 뛰어난 지혜와 훌륭한 성품을 지니고, 그러한 지혜와 성품에 따라 사는 사람이 잘 사는 사람, 즉 행복한 사람이다. 특히, 그는 돈과 명예 등의 외적 좋음은 남이 가지면 내가 못 가지기 때문에 쟁탈의 대상이자 사회적 불화의 씨앗임을 간파했다. 그에 비해, 덕은 남이 가진다고 해서 내가 못 가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덕의 경쟁이 개인과 사회에 유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는 덕이 단지 남 좋은 것이 아니라 무엇보다도 자기 자신에게 좋은 것임을 주장한다. 하지만 그는 단순 훈계로 그치지 않고, 캐묻고 따지고 나누고 합치면서 반성적이고 체계적인 사유를 전개한다. 그의 쓰고 딱딱한 논의는 우리 연약한 영혼에게 일용할 양식이 되긴 힘들 것이다. 하지만 한 번쯤 도전해볼 만한 특별 식단은 될 수 있을 것이다. 고진감래라고 하지 않는가? 뒷맛이 그윽하고 단 것이 고전이고, 한 번 맛이 들면 잊을 수 없어 자꾸 손이 가는 것이 고전임을 맛본 자는 다 알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마음이 넉넉하지 못한 사람은 행복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2013.06.03 송유레 <철학과 교수>
번호
글쓴이
387 대학주보 [1528호] 김유진·배진성 금메달 획득
대학주보
2012-11-12 5082
386 대학주보 [1500호] “국제캠 학생은 의료공제 받을 수 없나요?”
대학주보
2011-10-04 5074
385 대학주보 [1528호] 풍물·밴드·행사·취객, 계속되는 학내 소음, 누구의 잘못?
대학주보
2012-11-12 5072
384 대학주보 [사람] 경희대학교 한국아동문학 연구센터 고 이재철 센터장
대학주보
2011-07-23 5068
383 대학주보 [1564호] 학사운영 비판한 송영복(스페인어학) 교수 “정직한 학사운영, 교육의 시발점”
대학주보
2014-03-26 5066
382 대학주보 [1545호]크나쯔엉 마을에 경희의 ‘가치’를
대학주보
2013-08-05 5041
381 대학주보 [1543호] 대학생 강연, 취지를 못따른 ‘준비·진행’ 과정
대학주보
2013-05-28 5040
380 대학주보 [온라인]2014학년도 입시, ‘온라인 논술채점 시스템’ 도입
대학주보
2013-08-05 5036
379 대학주보 [1546호]짧지만 강렬했던 2주간의 ‘힐링’
대학주보
2013-08-05 5032
378 대학주보 [1528호] ‘프로이데’ 대학가요제 본선서 열창
대학주보
2012-11-12 5026
377 대학주보 [1542호] 방치된 노천극장 리모델링 계획 ‘무소식’…이유는?
대학주보
2013-05-28 5020
376 대학주보 [1501호] 체대 야구점퍼 비용 논란 …
대학주보
2011-10-11 5007
375 대학주보 [1490호] 실험실습비 세부항목 자율운영 예산 위원회서 공개
대학주보
2011-05-10 5002
374 대학주보 [1528호] [제45대 국제캠퍼스 총학생회] Power Dream 선본, “말하는 대로, 꿈꾸는 미래”
대학주보
2012-11-12 4999
373 대학주보 [1540호] 남자휴게실, ‘관리가 필요해’
대학주보
2013-05-28 4998
372 대학주보 [1546호]우리가 그들과 같아질 필요는 없다
대학주보
2013-08-05 4991
371 대학주보 [1545호]경희 옴부즈, 온라인 민원접수 도입 후 이용 증가
대학주보
2013-08-05 4971
370 대학주보 [1477호]무선인터넷 불편 … AP 추가 설치해야
대학주보
2010-11-23 4969
369 대학주보 [1540호] “자정 이후 배달음식 금지” VS “대학생의 자율적 판단”
대학주보
2013-05-28 4953
368 대학주보 [1491호] 개교기념 맞이 ‘애교심 테스트’ 학교에 대한 관심, 경희의 원동력
대학주보
2011-05-17 4944
367 대학주보 [방중소식] 본·분교 통·폐합 승인 지연
대학주보
2011-07-29 4941
366 대학주보 [1479호]베르너 자쎄 교수가 전하는 ‘외국인 교수가 바라본 한국’
대학주보
2010-12-09 4939
365 대학주보 [1475호]가을 하늘 아래 치열했던 고황체전
대학주보
2010-11-11 4925
364 대학주보 [1463호] 불시탐방, 먹거리 안전 우리가 지킨다 3
대학주보
2010-05-13 4925
363 대학주보 [1494호] 스쿨버스 인천노선 운행 재확정, 부족한 탑승객은 여전히 숙제
대학주보
2011-06-09 4924
362 대학주보 [1489호] 마을버스 정류소 이전 서명운동, 1만 명 목표
대학주보
2011-05-03 4923
361 대학주보 [1562호] 니혼대, 학부 중심 예산편성으로 자율성 가능
대학주보
2014-03-12 4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