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정보의 유통과 검색복제가 용이해진 디지털 사회가 도래하면서 이전 대비 광범위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이 바로 표절이다일반적으로 표절이라 함은 다른 사람이 창작한 저작물의 일부나 전부를 도용해서 마치 자신의 창작물인 것처럼 꾸미는 행위를 말한다타인의 것을 자기 것인 양 가져다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라는 점에서표절은 파렴치한 모럴해저드 현상으로 간주된다.

그 중 특히 대학가에서 문제가 되는 학문적 영역에서의 표절정확한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 다른 저작물을 인용재인용차용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2008당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마련한 논문표절 가이드라인 모형에 따르면 이 학문적 영역에서의 표절은 여섯 단어 이상의 표현이 동일하게 이어지는 경우’, ‘생각의 단위가 되는 명제 또는 데이터가 동일(혹은 본질적으로 유사)한 경우’,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자신의 것처럼 이용하는 경우’ 등이라고 규정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학문적 영역에서는 자기 자신의 저작물을 출처표기 없이 상당부분 그대로 재사용하는 자기표절도 엄중한 도덕적·윤리적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우리사회적어도 우리 대학사회에는 여전히 표절이 만연해있다는 점이다대학생들이 너무나 가벼운 마음으로 타인의 생각을 표절하고 있다는 것은 리포트나 소논문 등의 과제물을 인터넷에서 거래하는 사이트가 넘쳐나고 있는 현실이 이미 방증하고 있는 바다비단 대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다학문적 세계로 깊이 들어가겠다는 많은 대학원생들은 그 입장권에 해당하는 석사논문에서부터 수많은 표절과 복제를 시도하고 있고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지도·편달해야 할 일부 교수들마저 학자로서의 양심을 저버린 채 도덕적 해이 속에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그리고 이런 현상 자체보다 더 큰 문제를 꼽자면표절이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 그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는 대학사회 구성원이 예상보다 많다는 점일 것이다.

대학사회의 표절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온 것은 사실 우리나라만이 아니다해외의 많은 대학사회 역시 동일한 문제에 대해 오랜 고민을 거쳐 왔다그 고민의 결과로 탄생한 것 중의 하나가 소위 표절에 대한 시스템적 해결방안의 모색이다주로 영미권에서 시도돼온 이 방안은 약 20년 전부터 광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IT기술을 접목시켜 표절검색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이번에 우리학교가 도입한 Turn it in(턴잇인프로그램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1994년 미국 UC버클리 학생들이 처음 만든 이래로 현재 전 세계 126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대학사회에도 적극 소개되어지난 2007년 6월 한국정보통신대학교가 최초로 도입한 후 현재 31개의 국내 기관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이러한 표절행위 근절을 위한 시스템적 방안의 모색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지식범죄의 색출이라기보다는 연구윤리의 향상에 가닿아 있을 것이다하지만 사람이 바뀌지 않는다면 제 아무리 훌륭한 사전·사후예방시스템이 갖춰진다 한들 표절문제가 해결되거나 연구윤리가 향상되지는 않을 것이다가령 문장의 유사도나 중복도를 검색해 표절 여부를 판별하는 턴잇인 프로그램의 경우동일한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 한국어의 특성상 문장 표현만 달리 쓰면 표절 여부를 가려내는 데 한계를 보이게 된다때문에 턴잇인을 비롯한 거의 모든 시스템적 방안들은해당학과의 전문가들이나 학교당국의 적극적인 표절 검증 시스템의 보조를 필수적으로 요한다.

결국표절문제를 대학사회에서 뿌리 뽑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구성원 개개인의 인식 변화이며이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연구윤리교육 및 대학 당국의 면밀한 관리방안이 선행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연구윤리의식은 단 시일 내에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여러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의 장기간에 걸친 체계적인 노력이 뒷받침될 때만이 가능하다철저한 표절방지 교육을 통해 학생과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 개개인의 연구윤리의식이 개선되지 않는다면,그리고 대학이 적극적으로 표절 근절 의지를 갖춰가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도입한 들 본질적인 문제해결은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될 것이다인간이 만든 시스템을 인간이 피해가는 방법이란 언제든 존재하기 마련인 탓이다.

번호
글쓴이
387 대학주보 [1529호] 전체 수입 중 기부금 비중 9계단 하락, ‘기부하고 싶은 대학’ 순위는 상승
대학주보
2012-11-19 4545
386 대학주보 [1529호] 양궁부 정성원, 국가대표 선발전 1위
대학주보
2012-11-19 3956
385 대학주보 [1529호] 김민기, 세계대학 배드민턴 단체전 우승
대학주보
2012-11-19 4468
384 대학주보 [1529호] “마음의 상처 치유는 물론 대인기술까지 전하고 싶어요”
대학주보
2012-11-19 4471
383 대학주보 [알림] 쿠플라자 업데이트 부진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대학주보
2012-11-12 3847
382 대학주보 [1528호] 풍물·밴드·행사·취객, 계속되는 학내 소음, 누구의 잘못?
대학주보
2012-11-12 5075
381 대학주보 [1528호] 개교 70주년 2019년까지 중앙도서관 신축, 1만 평 규모로 계획
대학주보
2012-11-12 5098
380 대학주보 [1528호] “경희대역 부기표시에 3년간 5,700만 원 추정”
대학주보
2012-11-12 4495
379 대학주보 [1528호] 노조, ‘직원 겸직발령 중지’ 성명서 게재
대학주보
2012-11-12 4549
378 대학주보 [1528호] ‘프로이데’ 대학가요제 본선서 열창
대학주보
2012-11-12 5033
377 대학주보 [1528호] “소음문제 해결 위해 공간 확보가 필수”
대학주보
2012-11-12 3968
376 대학주보 [1528호] [제45대 서울캠퍼스 총학생회] 당신곁에 선본, “1만 3천 가지 일상의 행복한 변화”
대학주보
2012-11-12 3899
375 대학주보 [1528호] [제45대 서울캠퍼스 총학생회] PRIDE 人 KHU 선본, “경희대생임을 자랑하라”
대학주보
2012-11-12 4012
374 대학주보 [1528호] [제45대 국제캠퍼스 총학생회] Power Dream 선본, “말하는 대로, 꿈꾸는 미래”
대학주보
2012-11-12 5004
373 대학주보 [1528호] 소통의 철학 담긴 미래도서관을 꿈꾸다
대학주보
2012-11-12 3966
372 대학주보 [1528호] 2009 → 2010 감소 … 2011년부터 다시 증가 전체 세입대비 등록금 증가폭 상대적으로 커
대학주보
2012-11-12 3846
371 대학주보 [1528호] 농구부, 대만 대파하며 아시아 대학농구 우승
대학주보
2012-11-12 4201
370 대학주보 [1528호] 김유진·배진성 금메달 획득
대학주보
2012-11-12 5088
369 대학주보 [1519호] ‘모아, More’, 성금캠페인 우수작 당선 file
대학주보
2012-06-11 5090
368 대학주보 [1519호] 경희대 동문 체육교수협의회 출범
대학주보
2012-06-11 5332
367 대학주보 [1519호] 2학기 교내장학·국가장학 신청 오는 29일 마감
대학주보
2012-06-11 5274
366 대학주보 [1519호] 연구학생경비 지출 28.3% 서울시내 주요 사립대 중 2위 file
대학주보
2012-06-11 7980
365 대학주보 [1519호] 문과대학 학생회, 영어학부 개편 관련 입장 발표
대학주보
2012-06-11 6467
364 대학주보 [1519호] 구성원 공감과 참여 ‘필수’ … 재정, 법인 등 다양한 안건 논의
대학주보
2012-06-11 4237
363 대학주보 [1519호] 양 캠퍼스 총학, 공약 약 50% 이행 … 2학기 관건 file
대학주보
2012-06-11 6901
362 대학주보 [1518호] 인문학 분야 약진 … 졸업생 평판도는 하락 file
대학주보
2012-06-08 5169
361 대학주보 [1518호] 국제캠 자율전공 동서의과학 모집중단
대학주보
2012-06-08 4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