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정보의 유통과 검색복제가 용이해진 디지털 사회가 도래하면서 이전 대비 광범위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것이 바로 표절이다일반적으로 표절이라 함은 다른 사람이 창작한 저작물의 일부나 전부를 도용해서 마치 자신의 창작물인 것처럼 꾸미는 행위를 말한다타인의 것을 자기 것인 양 가져다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라는 점에서표절은 파렴치한 모럴해저드 현상으로 간주된다.

그 중 특히 대학가에서 문제가 되는 학문적 영역에서의 표절정확한 출처를 밝히지 않은 채 다른 저작물을 인용재인용차용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2008당시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마련한 논문표절 가이드라인 모형에 따르면 이 학문적 영역에서의 표절은 여섯 단어 이상의 표현이 동일하게 이어지는 경우’, ‘생각의 단위가 되는 명제 또는 데이터가 동일(혹은 본질적으로 유사)한 경우’,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자신의 것처럼 이용하는 경우’ 등이라고 규정하고 있다뿐만 아니라 학문적 영역에서는 자기 자신의 저작물을 출처표기 없이 상당부분 그대로 재사용하는 자기표절도 엄중한 도덕적·윤리적 범죄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문제는 우리사회적어도 우리 대학사회에는 여전히 표절이 만연해있다는 점이다대학생들이 너무나 가벼운 마음으로 타인의 생각을 표절하고 있다는 것은 리포트나 소논문 등의 과제물을 인터넷에서 거래하는 사이트가 넘쳐나고 있는 현실이 이미 방증하고 있는 바다비단 대학생만의 문제가 아니다학문적 세계로 깊이 들어가겠다는 많은 대학원생들은 그 입장권에 해당하는 석사논문에서부터 수많은 표절과 복제를 시도하고 있고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지도·편달해야 할 일부 교수들마저 학자로서의 양심을 저버린 채 도덕적 해이 속에 연구부정행위를 저지르고 있다그리고 이런 현상 자체보다 더 큰 문제를 꼽자면표절이 무엇이고 왜 문제가 되는지에 대해 그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는 대학사회 구성원이 예상보다 많다는 점일 것이다.

대학사회의 표절문제로 골머리를 앓아온 것은 사실 우리나라만이 아니다해외의 많은 대학사회 역시 동일한 문제에 대해 오랜 고민을 거쳐 왔다그 고민의 결과로 탄생한 것 중의 하나가 소위 표절에 대한 시스템적 해결방안의 모색이다주로 영미권에서 시도돼온 이 방안은 약 20년 전부터 광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IT기술을 접목시켜 표절검색장치를 개발하는 것이다이번에 우리학교가 도입한 Turn it in(턴잇인프로그램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1994년 미국 UC버클리 학생들이 처음 만든 이래로 현재 전 세계 126개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대학사회에도 적극 소개되어지난 2007년 6월 한국정보통신대학교가 최초로 도입한 후 현재 31개의 국내 기관이 이를 사용하고 있다.

물론이러한 표절행위 근절을 위한 시스템적 방안의 모색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지식범죄의 색출이라기보다는 연구윤리의 향상에 가닿아 있을 것이다하지만 사람이 바뀌지 않는다면 제 아무리 훌륭한 사전·사후예방시스템이 갖춰진다 한들 표절문제가 해결되거나 연구윤리가 향상되지는 않을 것이다가령 문장의 유사도나 중복도를 검색해 표절 여부를 판별하는 턴잇인 프로그램의 경우동일한 내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 한국어의 특성상 문장 표현만 달리 쓰면 표절 여부를 가려내는 데 한계를 보이게 된다때문에 턴잇인을 비롯한 거의 모든 시스템적 방안들은해당학과의 전문가들이나 학교당국의 적극적인 표절 검증 시스템의 보조를 필수적으로 요한다.

결국표절문제를 대학사회에서 뿌리 뽑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구성원 개개인의 인식 변화이며이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연구윤리교육 및 대학 당국의 면밀한 관리방안이 선행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연구윤리의식은 단 시일 내에 확보되는 것이 아니다여러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의 장기간에 걸친 체계적인 노력이 뒷받침될 때만이 가능하다철저한 표절방지 교육을 통해 학생과 교수를 비롯한 연구자 개개인의 연구윤리의식이 개선되지 않는다면,그리고 대학이 적극적으로 표절 근절 의지를 갖춰가지 않는다면 아무리 좋은 시스템을 도입한 들 본질적인 문제해결은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될 것이다인간이 만든 시스템을 인간이 피해가는 방법이란 언제든 존재하기 마련인 탓이다.

번호
글쓴이
441 대학주보 [1562호] “자산운용·수익사업 통해 연 100억 이상 확보”
대학주보
2014-03-12 5471
440 대학주보 [1493호] 현장르포 - 아름다운 동행 3일 file
대학주보
2011-05-30 5471
439 대학주보 [1542호] 경희의 오랜 전통, ‘사회적 실천’을 보여준 잘살기운동·밝은사회운동
대학주보
2013-05-28 5448
438 대학주보 [1544호] 행복을 위한 특별 식단, 《에우데모스 윤리학》
대학주보
2013-06-04 5446
437 대학주보 [1544호] 41.9% ‘종이신문’ 통해 대학주보 접해
대학주보
2013-06-04 5437
436 대학주보 [1506호] 매점 음식, 안전한가?
대학주보
2011-11-29 5424
435 대학주보 [1490호] 한국일보 ‘음대 전임교원 임용 무효확인 소송, 경희학원 패소’보도
대학주보
2011-05-10 5422
434 대학주보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 3강] 6·25전쟁의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북침설의 허구를 밝힌다
대학주보
2011-12-09 5420
433 대학주보 [방중소식] 원칙은 지정주차 금지, 하지만 현실은?
대학주보
2011-08-09 5405
432 대학주보 [1534호] 청운교·대성교는 하나, 그 속에 숨은 뜻은?
대학주보
2013-03-12 5396
431 대학주보 [1478호]회기동 주민 중앙도서관 이용길 열려 4
대학주보
2010-12-02 5381
430 대학주보 [21세기에 다시 보는 해방후사 4강] 6·25전쟁의 전화위복: 대한민국의 발전
대학주보
2011-12-09 5376
429 대학주보 [1519호] 경희대 동문 체육교수협의회 출범
대학주보
2012-06-11 5364
428 대학주보 [1462호] 양창수 대법관 초청 특강
대학주보
2010-05-05 5355
427 대학주보 [1546호]학점교류, 관리 부족으로 학생들 ‘혼란’
대학주보
2013-08-05 5354
426 대학주보 [1489호] 등록금 환급, 다음 학기 고지서에서 차감될 듯
대학주보
2011-05-03 5338
425 대학주보 [1546호]비밀스러운 BK21+ 사업
대학주보
2013-08-05 5332
424 대학주보 [1546호]시국선언의 가치는 한 사람의 의지보다는 다수의 지지에 있다
대학주보
2013-08-05 5321
423 대학주보 [1498호] 공간 문제 해결, 기존 공간 활용성 높이는 것부터
대학주보
2011-09-28 5309
422 대학주보 [1519호] 2학기 교내장학·국가장학 신청 오는 29일 마감
대학주보
2012-06-11 5306
421 대학주보 [알림] 대학주보 수습기자 모집
대학주보
2011-05-03 5295
420 대학주보 [1546호]무용학부 박명숙 교수 제58회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대학주보
2013-08-05 5282
419 대학주보 [1485호]자율전공학과 학생회 ‘자유시간’ , 국제경영대학 학생회‘Take Action 2’ 당선
대학주보
2011-03-23 5268
418 대학주보 [방중소식] UCSI와 NCSI 종합만족도 11계단 차이나
대학주보
2011-07-18 5266
417 대학주보 [1495호] 대학생 사회적 책임에 눈뜨다
대학주보
2011-07-28 5264
416 대학주보 [1535호] 해당국 언어능력 필수 …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제공되어야
대학주보
2013-03-12 5260
415 대학주보 [1483호]학내식당 가격 인상, “미안합니다”
대학주보
2011-03-10 5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