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수 630

문화
재즈 좋은데, 정말 좋은데, 어떻게 말로 표현할 방법이 없네

 

김광현 월간 『재즈피플』 편집장 haru@jazzpeople.co.kr

 

 요즘 유행하는 한 건강식품 회사의 산수유액 광고는 위 제목처럼 재즈에 비유해도 잘 맞는 것 같습니다. 아마 재즈 매니아분들은 모두 이런 생각들을 하시리라 봅니다. 첫 발을 내딛기가 어렵지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것이 바로 재즈이기 때문입니다. 재즈를 처음 접할 때 보통 어려운 음악이라는 선입견을 가집니다. 친해질 기회가 없었으니 당연하겠죠. 하지만 어떤 문화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주 접하고 만나면 익숙해지기 마련입니다. 그러면 더 궁금해지고 좀 더 알고 싶어 다가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죠. 이렇게 재즈와 친해질 수 있는 길이 있다면 더욱 다양한 음악 시장이 형성되어 결국에는 대한민국 문화 전체를 풍성하게 할 수 있다고 봅니다. 그런데 모두가 알고 있듯 편중된 한국 대중음악 시장의 편중 문제는 개선되지 않고 계속 한 쪽으로 쏠리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당연히 재즈는 설 자리를 잃게 되고, 점점 대중과 멀어지고 매니아성이 짙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흔히들 한국 대중음악을 이야기할 때 다양함이 없는 상황에 놓여 있다, 다시 말해 몰개성하다고 합니다. 기획사에 의해 만들어진 음악만을 접하는 세대들은 다양한 음악 감상이 이루어 질 수 없고, 더 나아가 음악을 만들어 내는 창작자들도 같은 길을 가게 되지 않나 봅니다. 물론 재즈가 우리의 전통음악이 아니기 때문에 한계는 분명 있습니다. 그러나 대중음악의 뿌리에 해당하는 재즈와 블루스에 대한 이해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면 분명히 한국의 대중음악도 지금보다 더 발전할 것입니다. 한국 대중음악의 발전은 한류의 흐름을 큰 강물로, 훗날에는 넓은 바다로 만들어 전 세계인을 상대로 보다 업그레이드된 한류를 이끌어 갈 수 있겠죠. 음악이 범람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그저 의미 없이 들려지는 음악이거나 통속적인 유행 음악만 반짝 듣지 말고 다양한 음악으로 가지치기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재즈가 여러분들의 감성을 풍요롭게 하고 즐거운 음악과 함께 하는 삶을 만들어 주리라 확신합니다.

 

 재즈가 미국 음악인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지만 이제는 유러피언 재즈, J-퓨전, 에스닉 재즈 등 재즈가 전파된 나라에서 각자의 음악적 성향에 맞게 여러 장르로 세분화되면서 전 세계인이 즐기고 연주하는 음악이 되고 있습니다. 이런 모습은 급속도로 발전하는 정보화 시대에 필연적으로 재즈가 가야할 길입니다. 이처럼 현대의 재즈는 전통을 바탕으로 한 메인 스트림과 현대에 들어와 생긴 다양한 형식의 재즈가 공존하면서 발전하고 있는데 한국 재즈도 이런 큰 흐름에 일정 부분 안착해 조금씩 탄탄한 뿌리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얼마 전 개봉한 재즈 평론가 남무성 씨가 만든 다큐멘터리 『브라보! 재즈 라이프』에서 볼 수 있었던 대한민국 재즈 1세대 분들의 헌신적인 희생과 노력이 지금 한국 재즈계의 밑바탕이 된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거기에 음악 교육기관의 확산과 재즈 연주자들의 수준 향상과 더불어 전반적인 문화 수준이 올라가면서 재즈를 즐기고 들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비록 전세계적으로 음반 시장이 불황의 늪을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지만 공연씬은 점점 확장되고 있습니다. 재즈도 마찬가지로 올해로 총 여덟번째 행사가 열리는 <자라섬 국제재즈페스티벌> 같은 세계적인 재즈 페스티벌의 성공적인 안착과 나윤선, 웅산, 윈터플레이 같은 대표 재즈 연주자들의 성공적인 해외 활동이 이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대로 일반인들에게 재즈는 여전히 어려운 음악, 나와는 거리가 먼 음악으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현재 지상파 TV에 재즈 프로그램이 하나도 없으며 라디오까지 포함해도 방송 3사 중 클래식 음악 전문 채널인 KBS 1FM에서 일주일에 두 번, 그것도 주말 새벽 0시부터 1시까지 한 시간 동안 방송하는 『재즈수첩』이 유일합니다. 물론 CBS FM에서 한국 재즈의 산 역사 중 하나인 『올 댓 재즈』 (옛, 『0시의 재즈』) 가 매일 방송되고 있지만 새벽 2시에 시작하는 방송이다 보니 ‘본방사수’는 쉽지 않은 일입니다. 다행히 지난해 EBS FM에 『재즈 No. 1』이라는 일요일 오후 6시대 재즈 방송이 시작되어 재즈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조금씩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대한민국 재즈는 젊은 피를 주축으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홍대의 재즈 라이브 클럽에서 매일 밤 이루어지는 연주 속에서 분명 기세등등한 대한민국의 재즈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천한 지식이나마 나누고자 종종 캠퍼스를 찾고 있지만, 필자가 학생 신분으로 교정을 거닌지도 벌써 15년이 훌쩍 지났습니다. 세월이 지나면 모든 것이 아쉽고 그립지만 갓 입학한 새내기 시절의 열정과 희망은 정말 다시 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뜨겁게 즐기고 화려하게 꽃 피우기 바랍니다. 재즈와 함께!

 

 

새내기에게 추천하는 재즈 명작

 

 

j1.jpg

 

John Coltrane <Ballads> (1961 / Impulse!)

 

 테너와 소프라노 색소폰 연주자인 존 콜트레인의 앨범이다. 그 연주는 프리 재즈가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 이 앨범은 무드가 짙은 발라드 앨범이다. 치열한 즉흥 연주를 선보이는 60년대 활동 중 색소폰에 이상이 생겨 발라드를 녹음했다는 얘기가 있는데, 그 덕에 이 앨범은 지금도 재즈 발라드의 스터디 앨범으로 대접받는다.

 

j2.jpg

 

Antonio Carlos Jobim <Wave> (1967 / A&M)

 

 브라질 출신의 음악인으로 루이스 본파와 함께 보사노바 재즈를 전 세계에 알린 안토니오 카를로스 조빔의 앨범이다. ‘Wave’, ‘Triste’ 등 전 곡이 조빔의 곡으로 이 앨범에 실린 곡들은 스탠더드화 되어 많은 연주인들이 새롭게 노래하고 있다.

 

j3.jpg

 

Grover Washington, Jr <Winelight> (1980 / Elektra)

 

 1999년 12월에 TV쇼에 출연하던 도중 세상을 떠난 컨템포러리 재즈의 대가 그로버 워싱턴 주니어의 히트 앨범이다. R&B와 재즈가 섞인 음악으로 빌 워더스가 노래로 참여한 ‘Just the Two of Us’는 대중적으로도 큰 인기를 얻었다.

 

j4.jpg

 

Count Basie <April in Paris> (1955 / Verve)
 
 스윙 재즈의 백미를 느낄 수 있는 카운트 베이시의 파리 라이브 실황이다. 브라스 악기들의 흥겨운 섹션이 빅 밴드를 통해 전해진다. 재즈 마니아 중 상당수가 아직도 초기 스윙 재즈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

 

j5.jpg

 

Lee Morgan <The Sidewinder> (1963 / Blue Note)

 

 애인의 총에 맞아 사망해 팬들을 안타깝게 했던 비운의 트럼페터 리 모건의 히트 앨범으로 타이틀 곡 ‘The Sidewinder’는 대중적으로도 큰 인기를 얻은 연주곡이다. 60년대 당시 블루노트 레이블에서 발표된 수많은 앨범들은 모두 명반 대열에 올라 있지만 그 중에서도 <The Sidewinder>는 언제나 선두에 있다.

 

j6.jpg

 

Miles Davis <Round About Midnight> (1955 / Columbia)

 

 동료 피아니스트 델로니어스 몽크의 곡인 ‘Round Midnight’을 타이틀로 한 한 앨범으로 재즈의 전형적인 편성인 퀸텟(5인조)의 백미를 들을 수 있다. 존 콜트레인의 테너 색소폰과 앙상블을 이루는 ‘Round Midnight' 연주는 그야말로 절대명연이다.

 

j7.jpg

 

Ella Fitzgerald & Louis Armstrong <Ella & Louis> (1956/ Verve)

 

 재즈 보컬에서 ‘스켓’(무의미한 가사로 악기처럼 노래하는 테크닉)의 정의를 세운 두 거장 엘라 피츠제럴드와 루이 암스트롱이 함께 노래한 음반으로 재즈 보컬의 A ~ Z를 보여주는 음반이다.

 

j8.jpg


Diana Krall <The Girl In The Other Room> (2004 / Verve)

 

 다이애나 크롤은 노래 솜씨 못지않게 피아노 실력도 뛰어나 현재 가장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여성 보컬리스트이다. 본 작은 그녀가 엘비스 코스텔로와 결혼 한 후 발표한 음반으로 기존의 정통적인 스타일에서 새롭게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j9.jpg

 

Pat Metheny Group <Still Life (Talking)> (1987 / Nonesuch)


 현재 재즈계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중적인 인기도 얻고 있는 재즈인을 고르라면 100% 확신하건데 기타리스트 팻 메스니가 선정될 것이다. 그만큼 그의 연주는 보편적인 정서를 지니고 있다.

 

j10.jpg

 

Duke Jordan <Flight To Denmark> (1973 / Steeple Chase)

 

 피아노, 어쿠스틱 베이스, 드럼으로 이루어진 피아노 트리오의 서정적인 연주를 듣고 싶다면 듀크 조던의 이 앨범이 안성맞춤이다. 설원을 배경으로 서 있는 한 남자의 고독이 음반 안에 아름답게 연주되어 있다.

profile
번호
글쓴이
630 대학주보 [알림] 대학주보 중간고사 휴간 종료 안내
대학주보
2011-11-01 3381
629 대학주보 [1518호] 농구부 김종규 선수 런던 올림픽 최종엔트리 포함
대학주보
2012-06-04 3401
628 대학주보 [1507호] “반값등록금·생협 유치 어떻게 할 건가요?”
대학주보
2011-12-06 3437
627 대학주보 [1498호] 튜터링제 악용 여전 … 점검 강화·의식개선 필요
대학주보
2011-09-20 3458
626 대학주보 [1514호] 이미지 개선·캠퍼스 종합개발·학사제도 개선 특별팀 신설
대학주보
2012-05-30 3467
625 대학주보 [1515호] 외국인 교류 '버디프로그램' 시행
대학주보
2012-05-30 3515
624 대학주보 [1518호] 양 캠퍼스 총학, 지역사회에 축제 수익금 400만 원 기부
대학주보
2012-06-08 3515
623 대학주보 [1504호] 미래협약, 구성원 의견차 드러나기 시작
대학주보
2011-11-14 3521
622 대학주보 [알림] 대학주보가 지령 1500호를 맞았습니다.
대학주보
2011-10-04 3545
621 대학주보 [1515호] 캠퍼스종합개발, 4일 법인 이사회서 승인 2
대학주보
2012-05-30 3560
620 대학주보 [알림] 개강호가 발행됐습니다.
대학주보
2011-08-29 3581
619 대학주보 [1516호] “우리학교 학생들의 응원 소리를 듣고 싶어요” file
대학주보
2012-05-30 3586
618 대학주보 [1503호] ‘파죽지세’ 사자군단, 대학리그엔 적수가 없다
대학주보
2011-11-08 3590
617 대학주보 [1500호] 축구부, 조 3위로 U리그 챔피언십 진출
대학주보
2011-10-04 3594
616 대학주보 [1499호] 양 캠퍼스 취업률 ‘반타작’ 서울 54.1%, 국제 54.8%
대학주보
2011-09-27 3608
615 대학주보 [1529호] 확대되는 입학사정관 전형, 2014년 30%까지
대학주보
2012-11-19 3630
614 대학주보 [1503호] 도서반납·연체료 납부, 도서관 어디서나 가능해진다
대학주보
2011-11-08 3633
613 대학주보 [1504호] 지키지 않는 공약(公約)은 선심성 공약(空約)일 뿐
대학주보
2011-11-14 3637
612 대학주보 [알림] 특별한 기사, 미디어센터 스페셜을 통해 접하세요!
대학주보
2011-07-28 3666
611 대학주보 [1529호] “다양성이 우리학교 입시의 키워드”
대학주보
2012-11-19 3676
610 대학주보 [1499호] 국제캠, 캠퍼스종합개발 수정안 두고 협의 지연
대학주보
2011-09-27 3690
609 대학주보 [방중소식] 캠퍼스종합개발 수정안, 공사규모 축소된 잠정안으로 발표
대학주보
2011-08-26 3692
608 대학주보 [1515호] 총학, 캠퍼스종합개발 · 미해결 과제 이행 촉구 등록금 논의는 2.5% 인하로 최종합의에 근접
대학주보
2012-05-30 3696
607 대학주보 [1500호] 약학대학 만족도 79점으로‘최고’ 양 캠퍼스 평균 만족도 66점 … 지난해와 동일
대학주보
2011-10-04 3700
606 대학주보 [방중소식] 학자금대출자·장학생 등록금 환불 불이행 논란, 오해로 밝혀져
대학주보
2011-08-26 3708
605 대학주보 [1537호] “대학평가 결과에 연연하지 말아야”
대학주보
2013-05-28 3754
604 대학주보 [1513호] 서울캠 학자요구안 수용 총투표 가결 1 file
대학주보
2012-04-17 3761